중세 국어
중세 국어
음운 ① 현대 국어에서 사용하지 않는 음운 존재 ㆁ(이에쯔이웅)ㅿ(한지 소리)ㆆ(요링히웃)ㅸ(순경 소리 f)·(시모 가)등 ② 어두 자음 군의 사용:음절 첫머리에 2개 이상의 자음이 오게 된 ‘ㅳ, ㅄ, ㅴ, ㅵ”등 아이용 병증과 표기 ③되는(경음)계열이 나타났다/ㅺㅜ/(꿈),ㅜ/뿔(사각)등 조화적으로 조화를 이루고 비교·각질화된 모음은 잘 어우러진다.마지막 음절에 양성 모음이 포함된 체언 뒤에는 양성 모음의 조사가 음성 모음이 포함된 체언 뒤에는 음성 모음의 조사가 와서야 함양성 모음:···ㅏ, ㅗ, ㅚ, ㅘ, ㅛ 음성 모음:-, ㅓ,ㅜ, ㅔ, oㅝ, oㅟ 중성 모음:ㅣ⑤ 문자의 왼쪽에 방점을 찍어서 성조 표기에서[발],·손[손],:말:ㅣ⑤ 문자의 왼쪽에 방점을 찍어서 성조 표기에서[⑥]이중 자음 법칙, 모음은 이중 소리, 발음으로 나타난다,모음 뒤에서 “·/를(양성/음성)”관왕형 격조사:유정 명사에는 “ㅇㆎ/”(양성/음성), 게을러서 명사 또는 유정이 명사인 존경의 대상이 ‘ㅅ’의 빗 격조사:모음 뒤에서 “아/에 “(양성/음성)”ㅣ”모음 뒤에서 “ㅇㆎ/”, 기타ㅇ∅/등 서술 격조사:보일러,ㅣ라 ∅라 호 격조사:아…라·허(조사:아시아·유럽·요·여, 아래(존경)② 주체 경어, 말끝이 높아지고ㅌ’뒤에서 ‘-ㅈ·-/-ㅈ·ㅸ-‘(자음 앞/모음 앞)유성음(모음, , ,,ㅇ)뒤에서 ‘-ㅿ·-/-ㅸ·-‘(자음 앞/모음 앞)상대적 경어 법의 어미:-?( 평서형).—(유사 문형)③ 명사형 어미”-옴/-음(양성/음성)”을 사용(후기에는 “-기”가 쓴 →명)→ 살((양성(사로)(살다(열)-(목소리(살오,”ㅃ,”아래”ㅇ”을 엮것(ㅸ, ㆄ, ㅹ, ㅱ)② 병서 각자의 병서 같은 문자를 나란히 표기(ㄲ, ㄸ, ㅉ, 등). 아이용 병서: 다른 문자를 나란히 표기(ㅳ, ㅄ).”련철 표기(계속은 기록):소리대로 표 기기(파)”(오의), 종성이 없으면”ㅇ”또는”ㅱ”등을 붙여
1. 중세 국어의 특징/(1)한글의 제자 원리 1)초성(최초의 소리, 자음)초성(받침)17자 상형의 원리:발음 기관( 조음 기관)의 모양을 본뜨고 기본 글자를 만들겠다(ㄱ, ,, g,ㅇ)노래화의 원리:소리의 세기를 반영하고 기본 글자에 그림을 가한 노래화 글씨를 만들겠다(ㅋ, ㄷ, ㅌ, f, ㅍ,ㅈ, j,ㅎ)ㆁ:ㅿ 두구 글씨의 원리에 따르지 않고 획, 문자를 만드세요
기본적인 자음기관의 모양을 본떠 만든 ㄱ,ㄴ,ㅁ,g,ㅇ가 획의 기본자에 획을 더해 만들어진 새로운 초성자(소리의 세기 반영)ㅋ,ㄷ,ㅌ,f,ㅍ,i,j,ㅎ이체(異體/異體)가 획의 원리에 따르지 않고 만들어진 ㆁ,d. ㅿ
기본적인 자음기관의 모양을 본떠 만든 ㄱ,ㄴ,ㅁ,g,ㅇ가 획의 기본자에 획을 더해 만들어진 새로운 초성자(소리의 세기 반영)ㅋ,ㄷ,ㅌ,f,ㅍ,i,j,ㅎ이체(異體/異體)가 획의 원리에 따르지 않고 만들어진 ㆁ,d. ㅿ
구분 기본자 1획 가화자 2화 카화자 구고토 음 (이음) ㄱㅋ Xㆁ 설음(솔음) ㄴㄷㅌd (판솔음) 순음(양순음)ㅁ fㅍ X 잇소리(튬)ㅅㅈjㅿ (반치음) 목구멍소리 ㅇㆆㅎ X
보통 얼마만큼의 첫 성자을 나란히 쓰고 다른 첫 성자로 사용※주의:보통 얼마만큼은 자음 기본 글자(17자)에 포함되지 않는 2)중성(중음, 모음)중성(모음 글자)11자상형의 원리:하늘·땅·사람을 흉내내서 기본자를 만들겠다(····-,ㅣ)합성의 원리:기본자 이외의 8개의 중성자는 기본자를 합쳐서 만들(ㅗ,·ㅏ, ㅓ,ㅜ, ㅛ/ㅠ),ㅕ, ㅑ,/
구분기본 자초출자 재출자 천공을 본 뜸 · (아래 아) · + – → ㅗㅣ + · → → ㅏ – + →ㅜ· +ㅣ→ㅓㅗ + · · ·→ㅛㅏ + ·→ㅑㅜ + ·→ㅠㅓ + ·→ㅕㅓ + · 땅의 평평한 땅을 본 뜸 – 사람(사람)이 서 있는 모습을 본 뜸
구분기본 자초출자 재출자 천공을 본 뜸 · (아래 아) · + – → ㅗㅣ + · → → ㅏ – + →ㅜ· +ㅣ→ㅓㅗ + · · ·→ㅛㅏ + ·→ㅑㅜ + ·→ㅠㅓ + ·→ㅕㅓ + · 땅의 평평한 땅을 본 뜸 – 사람(사람)이 서 있는 모습을 본 뜸
초출 자기 기본자를 조합해서 만드는 기본자”·”+기본자”-/ㅣ”→ 첫자”ㅗ → ㅏ→,ㅜ→ ㅓ”…+-→ㅗ/-+-+·’ㅣ+·→ ㅏ/·+ㅣ<ㅓ, 재출자 첫자에 “·”을 따서 만든 기본자”…`…`+초출자’ㅗ/ㅏ/ㅏ/ㅜ/ㅓ”→ 다시 출자’ㅛ→ 재출'<ㅑ>+ㅠ</ㅏ>·ㅜ>·ㅠ</출자>·ㅑ</재>. . ..<<초출 자기기본자를 조합하여 만드는 기본자 ‘·’ + 기본자 ‘-/ㅣ’ → 초출자 ㅗ → ㅏ → → ㅜ → ㅓ」· + – → ㅗ / – + – – +·´ㅣ +·→ㅏ /· +ㅣ ㅓ 재출자 초출자에 ‘·’를 붙여 만드는 기본자 ‘·’·’+초출자’ ㅗ/ㅏ/ㅏ/ㅜ ㅓ’ → 재출자 ‘ㅛ →재출’ <ㅑ > +ㅠ </ㅏ> ·ㅜ> ·ㅠ </출자> ·ㅑ </ 재> . . . . <<탄소 함유량이 적은 쇠 표기(이어 기술함)표 소리 주의:소리대로 표기 전의 음절 종성을 뒤 음절의 초성에 이어표기 전의 말의 받침을 모음으로 시작 후의 말의 첫음에 이어표기인+이 → 살라미 말+이 → 말츠미 하늘+이 → 하늘바프+을 → 거품화+을 → 코쯔루 중철 표기(반복기)탄소 함유량이 적은 쇠와 분 지하철이 함께 나타나는 과도기적 표기법 앞 음절의 종성을 뒤 음절에 뒤 음절의 초성으로 표기를 더 초성에서 표기했다며 더 모음을 덧붙였다밝히고 표시 다양한 형태소가 연결될 때 그 각각을 음절이나 성분 단위로 밝히고 표기 전의 음절의 받침을 뒤 음절의 초성과 분리 표기인+이 → 사람이 말+이 → 말씀이 하늘+이 → 하늘이 밥+를 → 밥을 꽃+를 → 꽃을Ex)부엌에서 밥을 먹다[브오케사ー거품 먹는다]분철 표기( 잘라서 쓴다):부엌에서 밥을 먹다무거운 철자 표기(반복 나열):브옥케사ー거품 먹는다탄소 함유량이 적은 쇠 표기(이어 쓴다):브오케사ー거품 먹다/3)띄어쓰기 중세 국어에서는 띄어쓰기를 안 하/4)성조 표기(소리의 고저)성조:소리의 높낮이, 음의 고저단어의 의미를 구분한 방점:성조를 표시하기 위해서 문자의 왼쪽에 복사하는 점평성 가장 낮은 음방점 X 손[손님], 발[발], 활(활) 거성 가장 높은 음방점 한 자루·손[손]·칡(칼, 칼) 상성 낮은 소리 → 높은 음방점 2개 : 말 [언] : 돌/5)문자의 운용 훈련서#계속 쓰고 세로 자음을 아래로 계속해서 쓴 ★순경 소리:입술 가벼운 소리로 입술의 소리”f, ㅍ, ㅃ, e”아래”ㅇ”을 계속 쓰고(ㅸ, ㆄ, ㅱ)병증#나란히 쓰고 쓰기의 자음을 나란히 쓰는 것 각자의 자음을 나란히 쓰는 것 아이용 병증:서로 다른 자음을 나란히 쓰는 것유형 홉용 병증 사례 특징’ㅅ’총 ㅺ,ㅽㅺ,ㅜ,ㅺㅗ,-리던 소리로 발음”총 ㅳ, ㅄ,-다, ㅄㅗ d, ㅶㅗㄱ 머리의 소리로 발음(→ 16세기에 이르렀다소리)’ㅄ’에서 ”과 ‘ㅅ’함께 발음”’ㅄ”’-총-,–된 소리와 이중 발음(→ 선조 이후 소멸)특이한 예-,-,-,-,(선조 선조 이후 소멸),(),(),(),(). h.-유형합용 병서예 특징 ‘ㅅ’ 계 ㅺ, ㅽㅺ、 ㅜ ㅁ, ㅺㅗ, – 리다한 소리로 발음 ‘ㅂ’ 총ㅳ, ㅄ, -다, ㅄㅗd, ㅶㅗㄱ머리 소리로 발음 (→ 16세기 됨소리) ‘ㅄ’에서 ‘ㅂ’와 ‘ㅅ’함께 발음 ”’ㅄ”’ -계 -, -된 소리와 이중발음 (→선조 이후 소멸) 특이한 예 -, -, -, -, -, ( 선조선조 이후 소멸), ( ), ( ), ( ), ( ( ).h. -음운 환경 행태 사례 단독”ㅎ” 나타나지 않는 돌/하늘 모음으로 시작된 토씨의 전 마지막 소리”ㅎ”이 뒤의 모음이 연음 되어 나타나게 된다 돌,ㅎ+~→ 도루히하늘ㅎ+~→ 하늘히”ㄱ, ㄷ, “에서 시작된 토씨의 전 마지막 소리”ㅎ”은 후의 자음과 축약하고”ㅋ, ㅌ, ㅍ”로 나타난다(거세 소리 실현) 돌,”ㅎ+-→ 돌과 하늘ㅎ+-하늘”→ 하늘 앞의 조사”ㅎ” 나타나지 않는(공격 조사)음운환경형태례단독ㅎ은나타나지않는돌/공모음으로시작하는조사의전종성ㅎ이뒤모음에연음되어나타나는돌,ㅎ+-이→돌희하늘ㅎ+-이→하늘희 ‘ㄱ,ㄷ,ㅂ’으로시작하는조사의전종성ㅎ은뒤의자음과축약되어’ㅋ,ㅌ,ㅍ’로나타나는(거세음실현)돌,’ㅎ+-과→돌과공ㅎ+-과하늘’→하늘앞의조사’ㅎ’은나타나지않는다(공격조사)음운 환경 행태 사례 단독 본래의 형태 유지나 모(목)/금(구멍)자음으로 시작되는 조사 앞의 형태 유지나 모+도 → 나모/나모+만 →나모+도→ 꿈도/금+만 → 쿰망나모(나무)/굼(나무)모음으로 시작된 토씨의 앞 끝 모음이 탈락하고”ㄱ”이 와브 김나모+이 → 남는다(나무가)나모+구·카누·라·라·남·→라 ·. → 라·남 는(나무)/2) 짧은 모음 7개(·,-,-,ㅣ, ㅗ, ㅏ,ㅜ, ㅓ)과 다양한 이중 모음이 존재하는 1)짧은 모음: 그렇긴·ㅣ, ㅗ, ㅏ,ㅜ, ㅓ(기본자와 첫자)2)이중 모음 ① 상향적 이중 모음: 반모음+ 단모음’ㅣ[j]계 상향적 이중 모음:ㅛ, ㅠ,ㅕ(재출 출자)’ㅗ/[w]계 상향적 이중 모음’아래 소리:② 아래 음정:②, 음성 모음은 음성 모음들끼리 어울리기 마지막 음절에 양성 모음이 포함된 체언 뒤에는 양성 모음의 조사가 음성 모음이 포함된 체언 뒤에는 음성 모음의 조사가 와야 하며 마지막 음절에 양성 모음이 포함된 용언 어간 후에는 양성 모음의 어미가 음성 모음이 포함된 용언 어간 후에는 음성집으로는, 함양 소리:·ㅏ·ㅗ·ㅐ·ㅚ·음성 모음:-·ㅓ·ㅜ·ㅔ, 중성 모음은 “ㅠ”이다.그러나 아래의 “·”이 소실, 오늘의 모음 조화가 무너지기 시작했다.어근+접사 양성 모음+-껍질 ⇨ 양성”ㅜ”의 날-+-개 ⇨ 양성”ㅏ”+양성”ㅐ”음성 모음열-+-소리 ⇨”+음성”-‘서울-+-엘레 ⇨음성”ㅜ”+음성”ㅔ”체언+토씨 양성 모음의 의미/·+(ㅇ·)⇨ 양성”·못”+양성”ㅗ”+음성의 의미”놀·노루에+(·)음성의 의미+<ㅐ><ㅜ><>”음성-⇨, 음성”(웃음)”+음성”ㅓ”을 얻어-+-라면 ⇨, 음성”ㅓ”+음성”-“/3)현대 국어에는 없는 음운 자음:ㅿ(반 발음)ㆁ(이에쯔이웅)ㆆ(요링히웃)ㅸ(승교은 소리보다 읍)모음:…(시모 가)음운 현상:엔진 모음화, 구개음화, 두음 법칙은 보이지 않는다1)현대 국어에는 없는 자음음운 변화 양상 예 ㅸ(순 지름 소리보다 읍)”ㅗ/ㅜ”에 변함도 ㅸㅏ(번):ㅸ → ㅗ 가을 ㅸㅓ( 추운):ㅸ → ㅜ셔/ㅸ-(서울):ㅸ+-→,ㅜ사라진 수/ㅸ수//수이 → 시 ㆆ( 부드러운 히웃)사라지ㅿ(한지 소리)’ㅅ'”ㅈ”로 바뀐다/ㅿ→ 한숨호/호자지 사라진다/ㅿ(한지 소리)→,”ㅈ”로 바뀌었다/아느이 → 토에임호우 ·.·예·게임 ·의 ·의 ·.·아 · 손(가)존슨:”ㆁ →ㅇ”모양만 바뀐 샤 ㆁ/네→ 뉴욕네음운 변화 양상 예 ㅸ(순경음비읍) ‘ㅗ/ㅜ’로 바뀌어도 ㅸㅏ(도):ㅸ →ㅗ추 ㅸㅓ(춥다):ㅸ →ㅜ 셔/ㅸ-ㄹ(서울): ㅸ +-→ㅜ 사라지는수/ㅸ수//수이→쉬 ㆆ(부드러운히웃) 사라지다 ㅿ(한치음)’ㅅ”ㅈ’로 바뀐다/ㅿ → 한숨 호 / 호자지 사라져 / ㅿ (한치음) →, ‘ㅈ’로 바뀌었다 / 아누 → ト 허은·예·문·응·안(가)정선 : [ㆁ →ㅇ]으로 형태만 바뀌는 샤 ㆁ/예 →샹네음운 소실 단계 변화 양상 사례·(아래 아)1단계 소실 두번째 음절:·→-‘·’의 1단계 소멸이 일어났고, 양성 모음인 ‘·’을 음성 모음의 ‘-‘가 대신(ㄱ·/ㅿ·)→(ㄱ·ㅇ·)→(ㄱ·/을)<1단계>→ 가을<2단계>2단계 소실 제일 음절:·→ ㅏ음운 소실 단계 변화 양상 예·(하아) 1단계 소실 제2음절: · → -‘·’의 1단계 소실이 일어나 양성모음인 ‘·’를 음성모음인 ‘-‘가 대신함(ㄱ·/ㅿ·ㄹ) → → (ㄱ·ㅇ·ㄹ) → → (ㄱ·/을) <1단계> → 가을 <2단계> 2단계 소실 제1음절 : · · → ㅏ✓ 문제[한글의 제자 원리]<보충 1>학생의 의견과 관련한 한글의 제자 원리를<보충 2>에서 찾아 올바른 조합한 것은?[2015학년도 수능 B형 14번]<보충 1>학습 활동:오늘 우리가 한글을 쓰면서 생각한 것을 각자 정리해서 발표하고 봅시다.학생 1:”ㄱ”의 글자의 형태가 그 소리를 낼 때에 혀의 뿌리가 목을 막는 형태와 관련이 있다니, 한글은 정말 대단합니다.학생 2:휴대 전화 자판 중에는 “·,-,ㅣ”을 나타내는 3개의 키보드만 해도 모든 모음 글자를 입력할 수도 있어서 매우 편리합니다.학생 3:<예절 소리>-< 강한 소리>-< 강한 소리>의 관계가<A>-<A에 그림 추가>-<AA>에서 문자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어 정말 체계적인 문자라고 생각합니다.학생 4:””과 “”에 그림을 추가하고 만든 받침은 “”모양을 공통으로 담고 있지만, 이 때 포함된 “”의 형태는 이들 자음 글자의 공통된 소리를 반영한 것입니다.학생 5:한글은 음절 단위로 받아 쓰기를 하면서도, 받침의 문자를 따로 만들지 않았습니다.만약 그렇지 않았다면 지금보다 문자 수가 훨씬 많아졌을 겁니다.<보충 2>한글의 제자 원리가.초성 아이와 중성자의 기본자는 상형의 원리로 만든. B.기본자에 임시화하고 새로운 초성자를 만든. C.초성 아이를 나란히 쓰고, 또 다른 초성 자식으로 사용했다.기본자 이외의 8개의 중성자는 기본자를 모두 만들었다.① 학생 1-가 나 ② 학생 2-하 라 ③ 학생 3-나, 하(O)④ 학생 4-나, 라 ⑤ 학생 5-가 라/답:③ 정답 해설 ③ 학생 3-나(가획의 원리)하(병증의 원리)(O)오답 해설 ① 학생 1-캐나다(상형의 원리)② 학생 2-라(합성의 원리)④ 학생 4-나(가획의 원리)⑤ 학생 5-해당 없음(씨앗성 부용 신육 형)✓ 문제[한글의 제자 원리]<보충 1>학생의 의견과 관련한 한글의 제자 원리를<보충 2>에서 찾아 올바른 조합한 것은?[2015학년도 수능 B형 14번]<보충 1>학습 활동:오늘 우리가 한글을 쓰면서 생각한 것을 각자 정리해서 발표하고 봅시다.학생 1:”ㄱ”의 글자의 형태가 그 소리를 낼 때에 혀의 뿌리가 목을 막는 형태와 관련이 있다니, 한글은 정말 대단합니다.학생 2:휴대 전화 자판 중에는 “·,-,ㅣ”을 나타내는 3개의 키보드만 해도 모든 모음 글자를 입력할 수도 있어서 매우 편리합니다.학생 3:<예절 소리>-< 강한 소리>-< 강한 소리>의 관계가<A>-<A에 그림 추가>-<AA>에서 문자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어 정말 체계적인 문자라고 생각합니다.학생 4:””과 “”에 그림을 추가하고 만든 받침은 “”모양을 공통으로 담고 있지만, 이 때 포함된 “”의 형태는 이들 자음 글자의 공통된 소리를 반영한 것입니다.학생 5:한글은 음절 단위로 받아 쓰기를 하면서도, 받침의 문자를 따로 만들지 않았습니다.만약 그렇지 않았다면 지금보다 문자 수가 훨씬 많아졌을 겁니다.<보충 2>한글의 제자 원리가.초성 아이와 중성자의 기본자는 상형의 원리로 만든. B.기본자에 임시화하고 새로운 초성자를 만든. C.초성 아이를 나란히 쓰고, 또 다른 초성 자식으로 사용했다.기본자 이외의 8개의 중성자는 기본자를 모두 만들었다.① 학생 1-가 나 ② 학생 2-하 라 ③ 학생 3-나, 하(O)④ 학생 4-나, 라 ⑤ 학생 5-가 라/답:③ 정답 해설 ③ 학생 3-나(가획의 원리)하(병증의 원리)(O)오답 해설 ① 학생 1-캐나다(상형의 원리)② 학생 2-라(합성의 원리)④ 학생 4-나(가획의 원리)⑤ 학생 5-해당 없음(씨앗성 부용 신육 형)[중세 국어의 이해]<사례>의(가)을 바탕으로(나)를 이해한 것으로 적절치 않은 것은?[2014학년도 수능 B형 16번]<보충>(A)15세기 중세 국어 음운과 표기의 특징㉠ 자음”ㅿ”과 “ㅸ”이 존재했다.㉡ 초성에 왔다”ㅳ”는 ”과 “c”이 “ㅄ”는 ”과 ‘ㅅ’모두가 발음됬다.㉢ 마지막 목소리로 “ㄷ”과 “‘ㅅ'”이 다르게 발음됬다.㉣ 평성, 거성, 상청의 성을 방점을 구분했다.㉤ 연철의 표기(계속의 마음)을 했다.(B)나·생쥐:말 ·미중 대국·귀에 월·아영·글 문자/·ㅉ·ㅇ/*·로솔 g//g/D.A.N/h.l/h.d./ㆎ. 이러한 이준//j.l., 로어, 링, 백, , ㅣㄱ, 이니ー루, 탁, 지이아, 사이트 가 루, 베이이, 샤, 도이,·,·,/e:나의 첫 ㅳ-ㅀ-e-e-e-e-e-e-e…들 모 ne, ne, ne, 디, nu.② ㉡을 보면”·ㅳ-/두루”의 “ㅳ”에서는 두개의 자음이 발음하셨군요.③ ㉢을 보면”:오돗·비”의 2번째 음절 종성은 “ㄷ”로 발음된 거죠.(X)④ ㉣을 보면”:ㅎㆎ//ㆀㅕ”의 첫 음절과 2번째 음절은 성조가 아니었네.⑤ ㉤을 보면”·ㅄㅜ/·메일”에는 탄소 함유량이 적은 쇠 표기가 적용됐구나./답:③< 본다>해설우리 나라의 어음의 듀은그이쯔크에 찍어 글씨로 “와로살사맛디아니세”이런 전철에서 어린 백)이 만들어지고 홀 베이되더라도 마챠무네 나의 투 두 루 실쯔표루노미하니아네라고 할까, 윙 하야, 오도오도오도오도오루 여도우루쟈랄멩가노니 사람 각각 날로 수비가 빤히 들여다보이는 듯한 노미하니아네다는 말이 중국과 달리 문자들이 맞지 않는다.이런 이유로 어리석은 백성이 도달하고자 하는 곳이 있어도, 마침내 자신의 뜻을 나타내지 않는 사람이 많기 때문이다.나 때문에 불쌍하게 여기고 새로운 28글자를 만드는 것이므로 모든 사람이 쉽게 익히고 매일 쓰는 데 편하게 먹으려고 할 뿐이다.정답 해설 ③ ㉢을 보면”:오돗·비”에서 두번째 음절 종성은 “ㄷ”로 발음된 거죠.(X)㉢ 마지막 목소리로 “ㄷ”과 “‘ㅅ'”이 다르게 발음됬다.∴”:오돗·비”에서 두번째 음절 종성은 “ㄷ”과 구별되는 ‘ㅅ’과 발음되었을 것이다.오답 해설 ① ㉠을 보면”:스/·ㅸㅣ”에는 오늘날에는 없는 자음이 들어 있네.(O)㉠ 자음”ㅿ”과 “ㅸ”이 존재했다.∴”:물/ㅸㅣ”에서 “ㅸ”은 오늘에 없는 자음이다.② ㉡을 보면”·ㅳ-/두루”의 “ㅳ”에서는 두개의 자음이 발음하셨군요.(O)㉡ 초성에 왔다”ㅳ”는 ”과 “c”이 “ㅄ”는 ”과 ‘ㅅ’이 모두 발음됬다.∴”·ㅳ-/두루”의 “ㅳ”에서는 ”과 “ㄷ”양쪽이 발음되었을 것이다.④ ㉣을 보면”:ㅎㆎ//ㆀㅕ”의 첫 음절과 2번째 음절은 성조가 아니었네.(O)㉣ 평성, 거성, 상청의 성을 방점을 구분했다.∴”:ㅎㆎ/·ㆀㅕ”의 첫 음절”:”과 2번째 음절”·”는 성조가 다른 것이다.⑤ ㉤을 보면”·ㅄㅜ/·메일”에는 탄소 함유량이 적은 쇠 표기가 적용됐구나.(O)㉤ 연철의 표기(이어 기록)을 했다.∴ 탄소 함유량이 적은 쇠 표기는 한 음절 종성을 다음 글자의 초성으로 낮추어 쓰는 것이,”(ㅄㅜ)+에 “을 “·ㅄㅜ/·메일”과 쓴 것은 탄소 함유량이 적은 쇠 표기에 따른 것이다.[훈민정음의 이해]<사례 1>의(ㄱ)(나)에 의한 표기의 사례를<사례 2>의 ㉠~㉣에서 찾아 바로 대상으로 한 것은?[2014학년도 9월 평가원 모의 시험 B형 16번]< 보기 1>(a)”ㅇ”을 차례 소리 아래에 연결하고 쓰면 순경 소리이다.(b)초성 글자를 모두 쓸 때에는 나란히 쓰시오.<표시 2>나·랏말 ·미쥬은 국그이에 찍어 글 문자/ㅉ·ㅇ/와로솔 g/·ㅅ/디아니/ㅎ·/ㆎ 이런 장/후루이에 유리…어린·/로 어린 백 ·ㅣㄱ 성이 통해서 미움을 받아도 ㉠·후루이에 유리···내·내재 ㅳ-// 들어가고 넓히고 디못크·ㅎ·ㅀ노미하니라네이·.윙 때문 /ㆎ 윙/날개/화이트.h/ㅇ.롯데. 아.롯데. 새,롯데. g. g.<l>롯데>페더러(O)”보충 1″의 “(이)”은 훈민정음의 연서, 즉 순경 소리 표기에 대한 설명으로,ㅇ을 차례 소리(e, , ㅃ, ㅍ)아래에 계속 쓰면 순 카가미네(ㅱ, ㅸ, ㆄ, ㅹ)이 된다는 것이다.<보충 2>에서 이 같은 입술 카가미네가 나타나고 있는 것은 ㉢ 물/ㅸㅣ이다.<보충 1>의(나)은 훈민정음의 병서, 즉 아이 용병서 표기에 대한 설명으로, 초성 글자를 모두 쓸 때는 “ㅺ, ㅼ, ㅽ/ㅳ, ㅄ, ㅶ, ㅵ”처럼 나란히 쓰라는 것이다.<보충 2>에서 이런 아이용 병서가 나타낸 것은 ㉣ ㅼ·/d·/미니라이다.”어휘 변화의 유형 파악”<사례>의 ㉠과 ㉡에 속하는 사례를 바로 제시한 것은?[2014학년도 6월 평가원 모의 시험 B형 16번]< 보기>모음”·”는 중세 국어 이후 크게 2단계 변화를 경험했다.제1단계 변화에서는 ㉠ 단어의 제2음절 이하에 놓인 모음”·”이 “-“으로 변화했다.이 변화가 일어난 뒤 제2단계의 변화에서는 ㉡ 제일 음절에 놓인 모음”·”이 “ㅏ”으로 변화했다.단어에 의해서 이런 변화에 예외가 보일 수도 있지만, 대체로 이 2단계 변화를 체험했다”·”은 모음 체계에서 사라지게 됐다.① ㉠(마/·→ 마늘)/㉡(ㅎ·ㄺ→ 토)② ㉠(모래/g·→ 사슴)/㉡(ㄱ·/오랜 → 가장)(O)③ ㉠(ㅎ·/나 → 하나)/㉡(오/· → 오늘)④ ㉠(백사··→명)/㉡(c~리 → 발)⑤, ㉠(아, c~, 오늘)④번째,”아이”, 맞힌 “2번째의 “-ㅅ”정답:2번째의 “-해설-변화”이다.첫째 음절에 놓인 모음”·”이 “ㅏ”에 변화한 사례로는 “가장”,”하나”,”다리”이 해당한다.그러므로 ②이 ㉠, ㉡의 사례로 적절하다.